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65세 이상 버스비 무료 혜택 신청방법 필요서류 준비물 시청시 유의사항

꿈과 2025. 7. 27. 22:41

목차



    반응형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는 경로우대 교통카드 제도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복지입니다.
    그런데 이 카드, 단순히 지하철 무료만 가능한 게 아닙니다!
    지자체별 무임 버스 정책까지 꼼꼼히 살펴보면, 전액 무료 + 환승 지원 + 정기 환급제도까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죠.

    65세 이상 버스비 무료 혜택이 궁금하시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65세 이상 버스비 무료 혜택

     

     

     

     

     

    경로우대 교통카드 vs 지자체 무임카드, 뭐가 다를까?

     

     

    항목  경로우대 교통카드 (국가) 지자체 무임카드
    대상 연령 만 65세 이상 지자체마다 다름 (65~75세)
    수단 지하철, 전철 시내/마을버스, 일부 농어촌버스 등
    혜택 지하철 무임, 열차 30% 할인 버스 전액 지원 또는 정액 환급
    발급처 주민센터, 신한은행 등 주민센터, 농협 등 지정기관
    환승 혜택 지역마다 다름 일부 통합 환승 무료 지원

     

    두 제도는 중복 적용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교통카드 1장으로 지하철 + 버스 모두 무임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2025년 전국 지자체별 노인 무료 버스 정책 요약

    아래는 지자체별 버스 무임 정책을 정리한 표입니다. 최근 발표된 내용까지 반영된 최신 정보입니다.

     

     

    지역  나이 기준 무료 여부 횟수  제한  비고
    서울 만 65세 이상 ✕ (환급 일부) 월 40,000원 한도 (중구 등) 버스·택시 포함
    경기 65~75세 이상 ✕ (분기별 환급) 연 16~24만 원 수준 GPS 기반 G패스 카드 사용
    인천 만 65세 이상 ✕ (30% 캐시백) 월 15회 이상 시 K패스 이용 필수
    제주도 만 65세 이상 ○ 없음 급행·리무진 제외, 농협만 발급
    창원시 만 70세 이상 ○ 없음 모든 노선 무제한
    춘천시 만 65세 이상 ○ 월 20회 60분 내 환승 2회 무료
    홍천군 만 65세 이상 ○ 월 20회 농어촌버스 한정
    인제군 만 65세 이상 ○ 월 30회 홍천군과 상호 환승 지원
    전북 임실군 만 65세 이상 ○ 없음 농어촌 버스
    충남 전체 만 70세 이상 ○ 없음 시내·농어촌 포함
    대전광역시 만 70세 이상 ○ 없음 (추후 검토) 시내버스 무료
    울산광역시 만 75세 이상 ○ 없음 KTX 리무진 포함
    순천시 (예정) 만 75세 이상 ○ 없음 2024년 10월 시행 예정
    보은군 전 연령 ○ 없음 신분증만 있으면 OK

     

     


     

     

     

     

     

     

    수도권 환급형 정책 자세히 보기

    수도권은 무임보다는 환급 방식이 주를 이룹니다. GPS 기반 교통카드로 후불 정산하거나 분기별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 서울 중구

    • 대상: 만 65세 이상
    • 혜택: 월 40,000원 버스·택시 환급
    • 신청: 동주민센터 또는 지정 웹사이트

     

    📌 경기도 군포시

    • 대상: 만 65세 이상
    • 분기별 4만 원, 연 16만 원 환급
    • 신청처: 농협 방문

     

    📌 화성시

    • 대상: 만 65세 이상
    • 최대 연 156만 원 환급 (월 13만 원)
    • 필수: GPS 카드 발급 및 홈페이지 등록

     

     

     

     

     

     

     


    신청 방법 및 준비물

    • 신청장소: 주민센터, 농협, 축협, 지정 기관
    • 지참물: 주민등록증, 증명사진 1장, 통장 사본
    • 신청자 본인이 직접 방문 필수 (일부 지역 대리 불가)
    • 주의사항:
      • 주소지 변경 시 혜택 중단 → 재신청 필요
      • 카드 미사용 시 자동 해지
      • 만 73세 되는 달 2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
      • 기초수급자는 별도 문의 요망

     

     

     


    Q&A 자주 묻는 질문

    1. 지하철도 무료인가요?

    네. 만 65세 이상은 전국 지하철·전철 무임승차 가능합니다. KTX/SRT는 평일 30% 할인만 적용됩니다.

     

    2. 환승은 어떻게 되나요?

    대부분은 환승 불가, 그러나 대구·경북 무임카드는 버스-지하철-버스 간 무료 환승이 지원됩니다.

     

    3. 대구에서 발급받은 무임카드로 구미도 탈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2025년 7월부터 대구+경북 9개 지자체 통합 사용이 시작되었습니다.

     

    4. 카드 두 개 발급받아도 되나요?

    안 됩니다. 1인 1카드 원칙입니다. 신용/체크/단순무임 중복 불가.

     

     

     

     


    교통카드, 잘 알고 챙기면 혜택이 다릅니다!

    65세 이상 어르신의 교통비 지원 제도는 단순한 복지 혜택을 넘어, 삶의 질과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정확한 정보를 숙지하고, 본인에게 맞는 교통카드를 신청하시면 연간 수십만 원 절약이 가능합니다.


     

     

     

    청년 구직수당 지원 자격부터 신청 방법까지 한번에 알려드립니다.

     

    청년 구직수당 지원 자격부터 신청 방법까지 한번에 알려드립니다.

    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생활비, 교통비, 학원비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지만, 소득이 없는 상태에서 이를 감당하는 것은 쉽지 않죠?이러한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77mass.com

     

    반응형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